경제&재테크

지금 금시세 얼마? 2025년 순금 가격 전망

미루키키 2025. 2. 7. 09:18

최근 금 시세가 다시 최고치를 경신하며 투자자들의 관심이 집중되고 있습니다. 오늘은 현재 금 시세가 얼마인지 살펴보고, 2025년 순금 가격 전망을 분석해보겠습니다.

 

1. 현재 금 시세

2025년 1월 20일 기준, 현재 순금(24K) 시세는 538,000원입니다. 이는 지난주 54만원 선을 기록한 후 다소 조정된 가격입니다.

고시일 지금 금시세 (3.75g) 지금 순금가격 (3.75g)
2025.01.20 538,000원 24K: 477,000원 / 18K: 350,600원 / 14K: 271,900원
2025.01.18 541,000원 24K: 478,000원 / 18K: 351,400원 / 14K: 272,500원
2025.01.17 541,000원 24K: 480,000원 / 18K: 352,800원 / 14K: 273,600원
2025.01.16 538,000원 24K: 478,000원 / 18K: 351,400원 / 14K: 272,500원
2025.01.15 535,000원 24K: 476,000원 / 18K: 349,900원 / 14K: 271,400원
2025.01.14 536,000원 24K: 472,000원 / 18K: 347,000원 / 14K: 269,100원
2025.01.13 542,000원 24K: 476,000원 / 18K: 349,900원 / 14K: 271,400원

2022년 초반과 비교하면 금 시세는 23~24만원가량 상승했으며, 연평균 20% 이상의 상승률을 기록하고 있습니다.

 

2. 금값 상승 원인

1) 글로벌 경제 불확실성

세계 경제가 둔화되면서 안전자산인 금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습니다. IMF는 2025년 세계 경제 성장률을 3.3%로 전망하며, 이는 평소 수준인 3.7%를 밑도는 수치입니다.

2) 인플레이션 지속

전 세계 물가 상승률이 4.2%를 기록하며, 인플레이션을 대비하는 수단으로 금이 더욱 주목받고 있습니다.

3) 금리 정책 변화

각국 중앙은행이 경기 부양을 위해 금리를 인하하면서 금이 매력적인 투자처로 부각되고 있습니다. 미국 연준(Fed)은 2025년 7월~9월 사이 금리 인하를 고려 중입니다.

4) 지정학적 리스크

우크라이나 전쟁 장기화, 중동 갈등 심화 등의 불안 요소가 안전자산 선호 심리를 자극하며 금값 상승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5) 각국 중앙은행의 금 매입 증가

지난해 11월 한 달 동안 폴란드(21톤), 중국(5톤), 인도(8톤) 등 주요 국가들이 총 53톤의 금을 매입하며 금값 상승을 견인했습니다.

 

3. 2025년 금 시세 전망

전문가들은 금 시세가 앞으로도 상승할 가능성이 크다고 분석합니다.

  • World Gold Council: 온스당 3,000달러 전망
  • Goldman Sachs & OCBC Bank: 온스당 2,900달러 예상
  • Bank of America: 온스당 3,000달러 전망

이러한 전망의 주요 원인은 미국 금리 인하, 달러 약세, 글로벌 경기 둔화 등이 꼽히고 있습니다. 특히 2025년 7월 이후 연준이 금리를 인하하면 금값 상승이 더욱 가속화될 가능성이 큽니다.

 

4. 금 투자 전략

금 투자는 장기적인 관점에서 접근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단기적인 시세 변동보다는 포트폴리오의 10~20%를 금으로 구성하는 것이 안전한 투자 전략이 될 수 있습니다.

앞으로도 글로벌 경제와 금 시장의 흐름을 주시하며 투자 결정을 내리는 것이 중요합니다. 금값 상승이 지속될 가능성이 높은 만큼, 신중한 투자 전략을 세워야 할 시점입니다.